새해 들면서 곳곳에서 "물가 때문에 못 살겠다"는 아우성이다.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달걀값 폭등에 각종 신선·가공식품 등의 생활물가와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올라 서민들의 고통이 극심하다.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탄식이 공연한 엄살이 아니다. 특히나 조선업 불황으로 지역 근로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많이 얇아졌다. 소비절벽 현상도 감지된다.

물가 중 무, 배추, 당근 등은 예년의 2배 수준으로 가격이 치솟았고 다른 신선식품도 수십%씩 오른 품목이 수두룩하다. 소주와 라면, 빙과류, 과자 등의 가공식품에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외식비와 영화 관람료를 비롯한 서비스요금도 덩달아 뛰고 공공요금과 주민세가 나란히 올랐다.

최근 2017년 설 차례상차림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17만1,193원, 대형마트 구매비용은 21만4,707원으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에 비해 20%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신선채소 공급을 확대하고 가공식품에 대한 민관합동 감시를 강화하겠는 설 물가대책을 내놨다.

계란은 농협 계통 비축물량(600만개)과 AI방역대 내의 출하제한 계란(2천만개) 및 생산자단체 자율비축 물량(1천만개)을 설 기간에 집중 공급하고, 할당 관세 추진 조치도 요청했다. 현재 미국 외에도 가까운 동남아에서 계란을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해줄 것을 요구했다.

수산물도 정부 비축 물량 7천200톤을 설 전까지 집중 방출하고 시중가 대비 10~30% 할인 판매키로 했다. 반면 설 성수식품, 농축수산물 위생 점검, 원산지 표시 위반, 계란 사재기 등에 대한 철저한 단속도 주문했다.

어느 정부에서건 물가 안정은 최우선 국정과제다. 물가관리는 주요 경제 현안이다. 일시적인 물가점검회의나 지도감독만으로 물가를 잡겠다고 한다면 오산이다. 한파와 이상기온, AI, 유통시스템 등 근원부터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설을 앞두고 서민 물가안정을 잘 챙겨야 한다. 생활물가를 잡는 것만이 혹한에 처한 서민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