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말 현재 주민등록상 통영시인구는 138,001명이다. 이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1,000명으로 전체인구의 15.2%를 차지했다. 수치상 볼 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셈이다.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15년 1월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기록한 것을 보면 이때부터 통영시 인구구조는 고령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읍면별로 보면 한산(46.3%), 사량(39.8%), 욕지면(33.2%)과 산양읍(30%), 도산면(33.8%), 명정동(24.7%), 중앙동(23.4%)은 초고령화 사회를 훨씬 넘기고 있다.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아 노인정에는 할머니들이 주를 이룬다.

광도면(7.9%)과, 무전동(8.6%), 미수동(10%)이 10% 미만으로 가장 젊은 동네로 분류됐다. 65세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7%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을 차지하면 '고령사회', 20% 이상을 차지하면 '초고령화 사회'라고 칭한다.

일본의 '마스다 보고서'는 2014년 5월 지금의 인구감소 추세라면 10년내에 일본의 절반, 896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소멸한다고 전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늦은 나이까지 일함에도 불구하고, 노인 빈곤율은 가장 높은 곳이 대한민국이다.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이 지난해 49.6%까지 올라 OECD 국가 가운데 1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출산 지원, 보육 지원, 교육 지원 등으로 출산율을 높여야 한다.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새로운 훈련과 교육기회를 제공하거나 노인 직업 상담소도 마련돼야 한다. 노인 복지 시설 및 휴식공간을 늘리고 노인의 연령과 능력에 따라 적합한 사회적 역할을 부여하여 사회에 계속 참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들 또한 개발되어야 한다.

고령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령화 사회를 부정적 인식으로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제는 노인을 '남의 문제'가 아닌 '나의 문제'로 바라봐야 할 시기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