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의 불황으로 인한 근로자들의 구조조정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인해 지역경제가 밑바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통영은 거제보다 낫다고 하지만 어금버금하다. 통영은 2008년 2만 명에 달했던 조선업 종사자 수가 지난해는 8천여 명으로 줄었다. 작년 대비 정규직(25%)과 협력사(36%)의 인력감축이라는 구조조정을 감행한 성동조선마저 선수급 환급보증 발급의 벽을 넘지 못해 무급휴직에 10월이면 문을 닫게 될지도 모른다고 한다.

그러나 통영시는 조선업의 위기로 실직과 지역경제 침체가 진행되는데도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2017년 우리시 조선 산업 지원예산이 전무한 실정이다.

많은 근로자들이 통영의 행정은 관광과 수산업에만 집중한다고 비판한다. 조선업이 한물 간 산업이거나 포기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조선 산업은 '사양산업'이 아니다. 조선업은 우리 통영시의 튼튼한 경제 토대를 만들어 왔고 앞으로도 그렇다.

조선업의 생존이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동조선을 살려야 한다. 성동조선의 경쟁력을 주장해 RG발급완화, 특별고용지원 기간 연장 등을 중앙정부에 강력 요청해야 한다.

중앙정부만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통영은 일찌감치 구조조정을 해지금의 조선위기에 한 발짝 물러나 있지만 8천여 명의 종사자가 일하는 곳의 아픔도 헤아려야 한다.

근로자들이 열심히 일할 곳이 있어야 가족이 배불리 먹고 지역사회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다.

인근 거제가 통영과 관계없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통영시민 가운데 대우와 삼성조선에 출근하는 이가 하루 6천여 명에 달하는 것을 아는 순간 함께 고민해야 할 이유가 생기는 것이다. 조선업 불황으로 고용에서 밀려나는 근로자들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다.

통영시는 조선업계의 실직과 고용유지의 고민을 앞장서서 해결할 의무가 있다. 근로자들도 통영시민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