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34개의 기초자치단체 중 지자체 85곳이 30년 내 사라질 것이라는 경고가 내려졌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 연구에 따르면 극적인 전환의 계기가 없다면 30년 내 사라질 지자체가 85곳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만큼 인구감소가 심각하다는 경고이다.

일본 마스다 히로야가 쓴 '지방소멸'에서 착안해 개발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소멸위험지수에 따른 것이다. 이 박사는 "소멸위험지수 1.0 밑으로 떨어지면 해당 공동체가 인구학적으로 쇠퇴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라며 "소멸위험군에 속하는 지자체는 극적인 전환의 계기가 없다면 30년 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경남의 경우 거제가 유일하게 소멸 저위험군에 들었으며, 창원, 김해, 양산이 정상단계였다. 통영, 진주, 사천이 소멸주의 단계였으며, 고성, 의령, 함안, 창녕, 밀양, 하동, 산청, 함양, 거창이 소멸위험에 진입했다. 특히, 남해군과 합천군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꼽혔다.

통영시의 인구는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섬지역이 모두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오래이다. 읍면동별로는 광도면을 제외하고는 읍면지역은 모두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산면의 경우 46.3%가 노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면 통영의 인구정책은 뭘까?

출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행정이 앞장서야 한다. 행정이 앞장서 아이 웃음소리, 부모 미소가 가득한 통영시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해야 한다. 아이를 낳는 가정에 출산장려금을 올린다든지, 아이들 보육료, 유치원비 지원 등 정말 아이를 놓고도 걱정이 없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우선이 아닐까? 지금처럼 미래가 불투명한 사회가 지속된다면 젊은이들이 아이를 편안하게 낳아 기를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사회경제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소득의 증가, 교육비 부담 증가 등 출산율 안정을 방해하는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비단 통영시뿐만 아니라 범정부적으로 이러한 부분부터 적극 대처하는 것이 기본일 것이다. 그다음 출산장려정책을 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