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굴위판고 지난해 절반, ‘월하굴’ 많아 내년도 걱정.. 소비촉진대책과 노로대응기준 격상해야

(지난해 12월 굴수협 경매현장 )

“예상 외로 여파가 길다. 올해도 올해지만 내년도 걱정이다”

올해 초 굴 양식업계를 충격에 빠뜨린 노로바이러스 여파가 9월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위축으로 생굴 판매고가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지며, 일부 양식어업인들은 도산 위기까지 호소하고 있다.

올해 초 서울 롯데마트에서 판매된 생굴 식중독 발생 이후 굴수협 경매 실적은 전년도 물량대비 39%(727톤), 가격대비 48%(49억1200만원) 하락해 9월 현재까지도 가격이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고 있다.

또한 문제는 낮은 가격이 지속되다 보니 굴 미채취 물량이 무려 7,000톤에 달해 내년도 ‘월하굴’(햇굴이 아닌 2년산 굴) 물량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내년도 생굴 가격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이다.

굴수협의 위판고 월별 동향을 보면 문제의 심각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지난 2월 위판 물량은 1,125톤 금액은 52억2900만원으로 지난해 위판고(물량 1,852톤 금액 101억4100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폭락한 생굴 가격은 3월 이후에도 회복되지 않아 굴수협 3월 위판고 52억1백만원(지난해 84억7600만원), 4월 9억4800만원(지난해 14억5800만원), 5월 2억9300만원(지난해 11억4000만원)이다.

9월 27일 기준 통영관내 생굴 박신작업은 17곳에서 1일 약 1,200박스 내외로 출하되고 있으며 10kg 1박스당 평균 50,000~55,000원 전후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물량 1,500박스 금액 평균 약 10,000원 하락한 수준으로, 10월 굴수협 초매식을 앞두고서도 굴 생산 및 유통업계 분위기는 암울한 형편이다.

이같은 위기상황에 굴양식업계는 물론 지역 정치권에서도 위기에 처한 굴산업 회생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강정관 시의원은 6월 의회정례회 5분자유발언에서 △해양위생관리가 지나치게 FDA 지정해역 위주로 시행되고 있다 △지정해역은 물론 전체 생산해역 육·해상 오염원 관리가 아직 미흡 △위생관리 인적 자원 부족 △노로바이러스 관련 유통관리 및 홍보 부족 등을 지적했다.

전병일 시의원은 지난 11일 시의회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FDA지정해역과 일반해역이 동등한 수준에서 해역관리 기준 설정 △굴 생산 시기에 맞춰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소비자에 제공하며 홍보 지원으로 소비 촉진 △노로바이러스는 적조와 조류인플루엔자, 태풍, 가뭄 등과 같은 재해로 봐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미 한산신문은 지난 2월 굴양식업계 원로 지홍태(굴수협 고문)씨 인터뷰 ‘노로바이러스 정면돌파해야’ 보도에서 노로바이러스 대책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당시 지홍태 고문은 “정부에서도 노로바이러스를 AI(조류독감)나 구제역과 같은 관점에서 접근해서 어업현장 피해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굴수협 관계자는 “가격 하락과 소비위축 지속이 굴수협과 양식업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며 “굴 업계는 관련 종사원이 2만명이 넘으며 통영 경제의 주요 버팀목 중 하나인 만큼, 굴 소비촉진 지원을 특정업계 지원이라 여기지 말고 통영 지역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장을 고려해 대응책 마련에 나서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소비촉진 및 소비자 신뢰회복을 위해 “굴수협과 업계는 각종 방송과 행사는 물론, 노로바이러스 관련 심포지엄 개최로 홍보에 주력하고자 한다”면서도 “농업 및 축산업의 조류독감, 구제역에 대응하는 정부의 모습과 노로바이러스 등 수산업 이슈에 대응하는 모습이 현격히 차이가 나는 부분도 아쉽다”며 정부의 노로바이러스 대응책을 농축산 이슈와 같은 수준으로 재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