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연대 설문 “반대 74.8%”, 청년모임 ‘통로’ 정체성 문제제기

“시내에 어선이 드나들고 물고기를 내리는 강구안 풍경과 통영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

강구안을 전통어항에서 관광형 항구로 탈바꿈시킨다는 ‘강구안 친수시설사업’에 대해 통영 시민사회 반대여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통영시민사회단체연대 설문조사에서는 사업 반대 74.8%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시민모임 ‘통로’는 기자회견에서 “통영 대표항구 정체성 훼손을 우려한다”며 사업 방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해양수산부와 마산해양수산청, 경남도, 통영시가 추진하는 통영항 강구안 친수시설사업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총사업비 413억7200만원을 투입해 강구안 일원(23,533.7㎡)에 강구안역사길(5,635.3㎡), 문화마당(6,941.3㎡), 녹지광장(6,795.9㎡), 이벤트광장(2,399.5㎡), 예술인거리 (1,761.7㎡), 연결교량(92.9m) 등을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지난 18일 통영청년모임 ‘통로’(통영에서 길을 찾다. 회장 윤덕현)는 통영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칙적으로 사업 자체에 반대한다”면서도 “그러나 착공 임박한 이 사업이 진행된다면 통영 정체성과 항구로서 기능을 담은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윤덕현씨 등은 “단순한 노후항구 정비 사업이 아니라 통영 정체성을 좌우할 사업이기에 지속적으로 시민의 의견과 바람을 담아 나가야 한다”며 “하지만 경상남도에서 제시한 ‘강구안 친수시설사업 세부추진계획’ 내용을 보면 이런 당연한 바람을 담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사업계획에 대해 △바다를 이용한 친수공간을 조성한다는 명목으로 현재의 항구를 매립하고 선박 정박 제한 △항구 입구에 다리를 건설해 배의 출입을 제한하고 천혜의 피항지인 강구안의 정체성 훼손 가능성 △상습 교통 정체에 대한 대책과 시민 친화 공간으로서 강구안 활용 방안 부재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통로’ 회원들은 “강구안의 매력은 도심 한가운데 있는 항구와 바다의 풍경이다. 어디에나 있는 나무 데크와 산책로와 분수광장이 통영의 매력적인 관광자원이 될 수 없다”라며 어선이 드나들고 수산물을 하역하는 강구안의 모습이 통영 특유의 관광자원임을 강조했다.

또한 “계속된 통영시의 일방적인 정책과 집행에 우려를 표한다. 또한 정부기관과 소수 관료들, 정치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개발사업은 근본적으로 재고돼야 한다”며, 시민의견보다 행정이 우선되는 지역개발사업 추진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통로’는 오는 28일 오후 7시 윤이상기념관 메모리홀에서 ‘강구안의 미래를 그리다’라는 주제로 시민토론회를 개최한다며 관심있는 시민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이에 앞서, 통영시민사회단체연대(상임대표 송도자)는 강구안 친수시설사업 관련 시민 설문조사 결과 “사업 반대 의견이 74.8%, 찬성이 24.5%로 나타났다”고 16일자로 밝혔다.

시민단체연대는 지난달 4일~이달 9일까지 통영 및 전국 시민 대상으로 온라인(구글 설문지)과 오프라인(거리 설문)을 병행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참여자는 모두 1,212명으로 통영 745명(61.5%), 이외 지역 455명(37.5%) 기타(미기재) 12명(1%)이다.

전체 1,212명 중 ‘지금 그대로 두자’라는 사업 반대 의견이 906명(74.8%)으로 나타났으며 통영 531명, 전국 367명, 무기재 8명이다. 사업 찬성은 297명(24.5%)으로 통영 210명, 전국 83명, 무기재 4명이다. 이외 기타의견은 9명(0.7%)이다.

시민단체연대는 “통영의 자산인 강구안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꾸고 보존해 미래세대에게 물려줘야한다는 책임감으로 조사를 진행했다”며 “조사결과를 통영시민은 물론 전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미래세대가 자랑스럽게 누릴 수 있는 살아있는 미항, 통영항을 자리매김하기 위해 향후 대응에 나서고자 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연대는 설문조사 명부를 관련기관(통영시, 경상남도, 마산해양수산청, 해양수산부, 청와대)에 발송하고 24일 시민 원탁회의 개최, 30일 통영시장 간담회 추진 계획이다.

지난 18일 통영청년모임 '통로' 기자회견
강구안 친수시설사업 계획도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