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고성 지역 전체매출액의 29%, 수출의 78%를 차지하던 성동조선해양이 수주절벽으로 생사기로에 서 있다.

정부가 최근 국내 중소 조선사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작업 본격화를 다시 내세우고 있는 가운데 성동조선해양의 채권단 무게중심이 존속보다 청산 쪽으로 기울고 있다.

채권단에 따르면 성동조선의 청산가치는 7000억원, 존속가치는 2000억원으로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5000억원 더 높았다. 이는 성동조선해양을 살리는 것 보다 청산하는 것이 5000억원 이득이라는 결론이다. 이 같은 소식에 금속노조 성동조선해양지회는 물론 지역 전체가 화들짝 놀랐다. 노조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회생대책 촉구와 이 같은 사실을 언론에 흘린 수출입은행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결국 성동조선이 문을 닫게 되면 지역 경제 몰락의 가속화는 물론 일본과 중국의 국제적 경쟁사들만 웃게 된다. 

성동조선 구조조정문제는 금융논리로만 재단하기는 어렵다. 성동조선에는 1천 300여 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간접고용까지 합하면 수 천명의 지역민이 생계를 의지하고 있다.

11만톤급 정유운반선과 15만톤급 원유운반선 시장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석유제품운반선 이른바 중대형 탱커에서는 아직도 국제적 경쟁력이 있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내세운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굳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금융논리 이외 산업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성동조선은 자체 간접비를 줄이고 유휴자산 매각 등 자구계획을 마련, 뼈아픈 구조조정은 물론 최근 환경규제 강화와 벌크 시황개선에 따른 조선경기 개선 흐름을 타고 그리스와 미국선사와의 수주협상도 활발히 해야 한다.

그나마 23일 경남도가 성동조선 정상화 방안 마련 긴급 회의를 개최, 산업부 등 중앙부처와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 국회대상 설득에 나서겠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강 건너 불구경 하듯 수수방관하는 통영시도 이제는 나서야 한다. 시의회 역시 성동조선 정상
화 방안에 힘을 모아야 한다. 정부차원의 중형조선소 대책을 강력 요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