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의 국가경제규모나 국민수준이 받춰주는 소위 1류 선진국'이라는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호주, 캐나다, 스페인, 일본 등은 공통적으로 농어업분야에서도 선진국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사이먼 쿠즈네츠(Simon Kuznets)는 "농업에 대한 확고한 인식과 발전없이 선진국이 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 농업이 국가성장의 동력이라는 말로, 세계는 군사력 우위의 중요성  만큼 식량확보를 위한 국가간 경쟁도 치열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와 10년내 80억명을 넘어설 세계인구를 감안하면 국제곡물시장의 불안정으로 언제든지 식량은 무기화 될 수 있다. 스위스의 경우, 식량안보가 자유경제원칙에 우선한다고 헌법에 명시할 만큼 국가차원에서 농업의 가치를 인정하며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2015년 국내 식량 자급률은 50%인데, 그나마 쌀을 제외한 콩, 밀, 옥수수 등 나머지는 매우 낮다. 특히, 사료용을 포함한 곡물 자급률은 24%까지 떨어져 주요 OECD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난류와 한류가 교차하니 어족이 풍부하여 어업이 발달하였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상승과 환경오염에 의한 변화는, 어족자원의 고갈로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양식어업이 이제는 대세다.

또한 해조류를 필두로 수산물이 웰빙식품으로 각광받아 2013년~2015년 1인당 연간 소비량이 58kg으로 세계 최고수준이며, 2015년 수산물 자급률은 72%로 미래 식량자원을 책임질 지속가능한 어업의 역할이 기대된다.

이렇듯 우리나라 농업과 어업의 현실은 온도차가 약간 다르게 다가올 수 있다. 그렇지만, 어느 하나라도 허투루 관리할 수 없으며 농어업이 외면 받으면 국가의 존재까지 위험하다고 하겠다.

2016년 우리나라 농가인구 250만명이 붕괴되고 그중 60세 이상이 50%를 넘었으며, 어가인구도 2013년 15만명이 붕괴되었다.

경남지역도 예외는 아니라, 2016년 농가인구 28만명, 어가인구 2만명 정도이다. 국가의 근간이 너무나 허약한 체질로 변했다.

이에, 누군가 "우문현답 :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처럼, 통계청에서는 농림어가와 인구의 규모, 분포, 구조 및 경영특성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자, 2017년 농림어업조사를 전국적으로 표본조사 실시한다.

일류 선진국을 바라는가? 그렇다면 농어업 발전은 필수요건이다. 농어업의 당면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할 중요한 자료생산에 대상가구의 적극적인 협조와 정확한 응답을 부탁드린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