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년간 근해통발수협과 함께 한 이병훈 상임이사가 단독 출마, 재임이 유력시 됐으나 뜻하지 않은 복병을 만나 낙마했다. 예측과는 달리 과반수이상이 불신임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근해통발수협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당사자인 이병훈 이사는 비록 평소 상상해온 명예퇴직은 아니지만 이번 선거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조합원들과 수산업계는 이러한 결과를 내년 3월 13일 조합장 선거의 전초전으로 해석하고 있다. 타 수협에서도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벌써부터 전국동시조합장 선거의 서막이 올랐다는 이야기다.

전국 1천 348여 개 농·수협 및 산림조합을 선출하는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의 업무개시도 이미 9월 21일부터 선관위에 위탁 관리되고 있다. 

조합장은 지역 조합의 대표자이자 사업 경영체의 수장으로서 고액 연봉에 업무추진비, 인사권, 사업권 까지 권한이 막강해 해당 지역에서는 '무소불위(無所不爲)' 권력자로 통한다.

조합장의 연봉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적게는 6000만 원에서 많게는 1억원이 훨씬 넘는다.

지방자치단체장들과도 공생 관계로 엮여 있다. 차기 선거에서 자신을 지지하는 표 확보를 위해서는 조합장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자체장으로부터 직·간접적 지원을 받으며 일부 조합장은 지역 기관장 대우를 받는 곳도 있다.

조합장이 이처럼 강력한 권한을 쥐고 있지만, 그에 비해 감시 및 견제 기능은 약하다. 내부적으로는 자체 감사와 중앙회 감사가, 외부 통제수단으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감사원 감사가 있지만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물론 대다수 조합장들은 조합원의 권익과 농어촌 활성화를 위해 열심히 뛰고 있다. 일부 지역 조합장의 일그러진 행태들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방안 마련도 시급하다.

내년 선거가 건강하고 풍요로운 농어촌을 만드는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선관위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후보들과 조합원들의 의식개선이 우선돼야 하는 이유이다.

미래지향적인 조합문화를 만드는 첫 단추인 만큼 공정하고 투명하게 치러져야 한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