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통영시, 지속가능발전 시민원탁회의 개최
지속가능발전목표 선정, 관심사항 그룹별 토론 진행

“통영시가 경제적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서민의 경제를 먼저 생각하고 청년들의 안정된 일자리를 찾아주고 만들어야 합니다”

“노인, 장애인 등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 증대는 사회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줍니다. 빈부격차 해소를 위해 사회와 국가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해변가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하수나 폐기물도 함부로 버리지 말고 깨끗한 우리 모두 깨끗한 통영바다를 만들어갑시다”

“도서지역 건강검진 서비스를 확대 하는 등 공공보건 의료체계가 강화됐으면 좋겠습니다”

시민이 생각하는 통영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일까?

통영시민 100명은 일자리와 경제성장, 건강과 웰빙, 해양생태계 보존을 통영시 현안 과제로 손꼽았다.

통영시는 지난달 30일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시민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고,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을 위한 지속가능발전 시민원탁회의를 시청 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시민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통영시 미래계획’이라는 주제를 놓고 시민 100여 명이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시간이었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사회·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않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발전을 말한다. 유엔이 2015년 9월 채택한 ‘지속가능발전목표 2030’은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 230개의 지표로 구성돼있다.

유엔이 제시한 목표에 부합하면서 통영시 실정에 맞는 ‘도시의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해법’을 찾기 위해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통영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을 위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342명이 참여 했으며, △일자리, 경제성장 △건강과 웰빙 △해양생태계 보존 3가지가 통영시에서 가장 시급히 다뤄져야 하는 목표로 나타났다.

토론에 앞서 퍼포먼스로 색지에 ‘각자가 희망하는 통영시의 모습’을 간략히 적어서 메시지가 담긴 희망의 종이비행기를 다함께 날리는 시간을 갖고,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권기태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속가능전략분과위원장의 설명이 이어졌다.

권기태 위원장은 “지속가능벌전의 목표는 통영시민의 행복이다. 지속가능발전은 지향해야할 가치, 담론, 협치의 과정,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 통영 내 모든 활동은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관련돼있으며, 통영이란 지역의 특성에 맞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 결국은 각 목표별 통영의 실천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후 ‘통영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세부목표 선정’과 ‘시민이 제안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지표’를 주제로 참여 시민의 관심사항별로 그룹별 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원탁에 둘러 앉아 의견을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미래계획을 위한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용남면 주민 한점순 씨는 “통영은 관광도시지만 장애인이나 유모차 등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도로가 없다. 약자가 마음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도천동 주민 강시자 씨는 “조선 경기 몰락과 일자리 부족으로 젊은 세대마저 안정적인 일자리가 아닌 단순 일자리에 내몰리고 있어 안타깝다.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고 의견을 말했다.

시민들은 환경과 관련 △관광지 환경관리 대책마련 △발전소, 소각장 시설 환경규제 강화 △해양환경 보호 및 관리대책 시급 △굴패각 △신재생 에너지 보급 및 친환경차보급 △지속가능한 관광 등의 공감 가는 이야기를 내놓았다.

사회분야는 △시내 교통문제 해결 △안전한 도시 △공공의료 △시민교육 △인성교육 △사회적약자의 관광지 접근성 확대 등의 의견이 도출됐다.

경제에 관해서는 △청년유출 방지방안 △도시개발 △관광업 활성화 △재래시장 등 내수경제 활성화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시민들이 제안하는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활발한 토의가 진행됐다.

시민들은 △사회적약자 복지확대 △교육제도 마련 △관리, 건강강좌 개최 △청소년·어르신 문화공간 마련 △공공시설, 도로변 쓰레기 청소 △소각장 관리 △환경 살리는 일자리 창출 △교통인프라 구축 △주거환경 개선 △낚시꾼 허가제 △수산업 해양오염 관련 통계 필요 △친환경 생활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하며, 토론을 마무리 했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