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건오 수필가, 수필문학・수향수필・통영문협 회원, 도산면지 편찬 사무국장 겸 주필

구명겸 통제사 몰자비.

조선후기 한양을 중심으로 조선 8도의 각 변방을 잇는 10대로(路)가 있었다. 10대로는 관서대로(의주), 북관대로(경흥), 관동대로(평해), 봉화대로(봉화), 강화대로(강화), 삼남대로(해남), 영남대로(동래), 충청수영로(보령), 수원별로(수원), 통영별로(통영)였다.

이렇게 한양에서 통영에 이르는 길이 조선의 10대 간선도로에 속했음은 임진왜란 이후의 남해안 방비의 중요성과 함께 삼도수군통제영의 비중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통영별로를 약칭하여 통영로라 했으며, 이 가운데 특히 통영과 고성을 잇는 구간을 삼도수군 통제사가 한양으로 오가던 길이라 하여 속칭 ‘통제사길’이라 했다.

통영과 고성의 중간 도산면 도덕산 기슭 한퇴골에 위치한 가장 크고 높은 고갯길이라 하여 한치(汗峙) 또는 대치(大峙)라 불린다. 삼도수군 통제사가 지나다니던 한퇴골 고갯길 중간 대한불교조계종 백우정사 입구 양면에는 암각비가 있으며, 서쪽 숲에 있는 큰 바위에는 ‘統制使 具公顯謙 世世有澤 世世不忘’ (통제사 구공현겸 세세유택 세세불망)이라 새긴 글이 뚜렷하다. 조선시대 구현겸 통제사(1774~1775재임)의 선정을 통영의 군민들이 영원토록 잊지 않겠다는 그 당시 세운 불망비(不忘碑)이다.

불망비 아래쪽 동쪽 도로변의 큰 바위는 글자가 새겨진 흔적이 있으나 훼손이 심하고 글이 함몰된 몰자비(沒字碑)이다. 1786년(정조10)역모에 가담한 죄로 처형된 구명겸(具明謙)통제사(1781~1783재임)의 선정비로 추정된다. 훼손된 몰자비에는 어렴풋이 글이 보였는데 계묘 3월, 세세불망(世世不忘 대대로 잊지 말아요)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 비(碑)에 대해서는 옛날 죽은 통제사가 귀신으로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어 일명 ‘귀신비’ 또는 ‘구신비’로 불리었다. 이곳 대한불교조계종 백우정사 민욱 스님은 몰자비에 대해 “향토 사학자들이 함몰된 몰자비 연구를 위해 자주 찾는다”고 전한다.

당시 통제사는 통제영에서 원문고개를 거쳐 도산면 한퇴골, 원동마을, 오산마을, 고성을 지나 한양으로 갔으며 통제사가 한양으로 갈 때 주변 마을사람들은 나와 길바닥에 황토 흙을 깔아 주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흐르는 세월 속에 통제사 옛길도 많이 변했다. 한퇴골에서 한치(汗峙)고개를 지나 원동마을 앞까지 임도가 개설돼 차가 다닐 수 있다. 반면 당시 통제사가 걸었던 한퇴골 고개에서 광덕사(廣德寺) 까지는 몇 년 전 오솔길을 잘 정비해 놓았으나 사람이 다니지 않아 숲속에 파묻혀 다니기가 힘들다.

통제사 옛길은 산세가 수려한 도덕산과 벽방산의 산중으로 깊은 계곡에는 티 없이 맑은 물이 흐르고, 대한불교 조계종 백우정사가 둥지를 틀었다. 백우정사 명칭은 법화경(法華經)에 나오는 횐 소가 끄는 큰 수레인 백우거(白牛車)를 의미하고, 고해의 모든 중생을 해탈의 세계로 인도하는 대승불교의 정신을 상징하는 말이다. 백우정사는 동국역경 위원으로 계셨던 송정년 법사가 지었다.

백우정사가 있는 통제사 옛길은 나와 인연이 깊다. 고교 시절인 1960년대 후반, 여름 방학 때에는 어김없이 한퇴골을 찾았다. 고성농고 재학시절 여름방학숙제로 산야초를 베어 말린 후 건초 60kg를 학교에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다. 건초는 고성농고에서 농사를 짓는 논(畓)이 무려 50마지기로 건초를 퇴비로 활용했었다. 이를 위해 무더운 여름 아침 일찍 도시락을 싸 들고 동네 친구들과 험준한 한치(汗峙) 재를 오르며 약 3km거리의 한퇴골로 행한다. 옛 삼도수군통제사가 한양을 오갈 때 쉬었던 한치재의 도덕산 기슭에는 억새 풀 등 초목이 무성했었다. 한 며칠 풀을 베어야 건초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억새 풀 등을 베어 일주일 정도 말린 후 지게에 한 짐 지고 경사진 산길을 힘들게 내려왔다. 건초는 고성농고 몇몇 선・후배들과 소달구지에 싫고 20리길의 학교에 가져갔다. 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다.

이러기를 3년, 통제사 옛길은 지금도 그때 큰 바위 아래 평평한 곳에 지게 자리를 잡았던 일들이 아련히 떠오르나 50년이 지난 지금은 초목이 크게 자라 길이 아니면 입산하기 힘들고 대낮인데도 울창한 숲으로 혼자 가며는 을씨년스럽기도 하다. 또한 한퇴골에는 잔잔한 호수 같은 저수지를 비롯해 약천사, 어렵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활하는 ‘아름다운 집’ 이 자리하고 있다.

통제사 옛길은 원산리 원동마을입구에서 한치(汗峙)재를 넘어 관덕리 한퇴마을까지 이어지는 임도(林道)로 차량이 다닐 수 있으며, 울창한 숲과 아기자기한 고갯길로 통영문화원의 역사 문화 탐방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흔적이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아 안타깝다. 통영시에서는 국도 14호선 한퇴마을 입구와 원산리 원동마을 입구에 ‘통제사 옛길’ 이라는 안내판을 세워 관광객들이 찾아 올 수 있도록 지역민들은 바라고 있다.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사가 한양으로 오갈 때 걸었던 통제사 옛길을 걸으며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자.

구현겸 통제사 불망비.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