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돌이다. 민족자존과 자주독립 의지, 겨레의 하나 됨을 만방에 떨쳤던 그 날 그 함성이 지금도 쟁쟁하다. 삼일독립정신! 조국광복을 맞기 위해 애쓰신 선열들의 정신을 되새겨보아야 한다.

"철석같은 우리의 신념, 벽력같은 우리의 함성, 적의 창과 투구는 이미 땅에 떨어졌나니, 소양(昭陽)한 천지, 구십춘광 거칠 것, 막힐 것 없는 정의의 개선, 회천동지(回天動地)의 나팔이다. 강산을 뒤흔드는 함성, 아침 해 칠색영채에서 오려 온 韓나라 족간(簇竿), 이천만의 손으로 매어울리렴, 하늘 높이 청천(靑天)까지…나라 외에 일절 구구한 욕심은 도적질이다. 우리에게 자유 아니면 죽음을 다오"

1919년 3월 13일 울려 퍼졌던 통영의 독립선언서 '동포에 격하노라'의 격조 높은 글이다.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배재학당을 거쳐 세브란스 의전을 마치고 의업에 종사한 통영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진평헌 선생이 주도한 글이다. 독립선언서를 입수하지 못해 통영의 독립운동가들이 3월 8일 비장하게 밤을 새워 만든 통영의 독립선언문이다. '독립이란 주어지는 게 아니라 쟁취하는 것이다. 죽음보다 더 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 적과 타협 없이 독립투쟁을 전개했던 통영 독립운동의 결기를 읽게 한다.

4월 2일까지 장날마다 4차에 걸쳐 태극기 휘날린 통영 3·1운동은 남녀, 세대, 지역, 종교, 이념을 초월해 모두가 하나된 울림이었다. 그 가치의 반추는 아무리 거듭해도 지나치지 않다.

3·1운동의 대의는 크고 무겁다. 그만큼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도 적잖다. 급변하는 21세기 오늘의 통영은 힘듦의 연속이다. 실업률이 최고조에 달하고 경기는 바닥에 바닥을 치고 있다. 하지만 조국광복을 위해 풍찬노숙했던 순국선열의 생각하며 이겨내야 한다.

국회의원에 출마한 이들도 공천경쟁보다는 지역 발전을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다. 농수축산 조합장 선거 역시 거시적 관점에서 공정하게 치러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곧 삼일절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우리의 다짐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