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피보험자 2010년 7천573명→2018년 902명 급 감소
8년 새 90% 이탈, 고용위기지역 지정 불구 젊은층 이탈 심각
지역별 거제·고성으로 이동, 업종별 건설·서비스업으로 이동

 

없다 없다했던 통영의 조선업 근로자들은 정말로 통영에 없었다.

통영을 떠나는 종사자들의 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조선업 근로자들은 지난 2010년부터 8년간 지속적으로 통영을 이탈, 7573명 중 902명의 근로자만 통영에 남아있다.

세계 조선업의 위기로 여러 도시가 침체에 빠져있는 가운데 중소조선업체가 밀집한 통영의 조선업 종사자들의 고용상황 악화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 윤윤규 고용정책연구본부장 등이 발표한 ‘고용위기지역 산업의 일자리 이동 지도 구축 기초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고용보험에 가입된 조선업 피보험자 7573명 중 지난 2018년 6월 30일까지 통영에 남아있는 인원은 902명에 불과했다.

조선업 근로자들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일시적인 효과만 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그동안 정부는 통영을 ‘고용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 근로자 및 실직자 생계 안정 및 재취업 지원, 사업주 고용유지 지원, 지역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협력업체 지원 등 복합적인 지원을 제시해왔다.

통영시는 촉진지역으로 지정됐던 2013년에 근로자 유출 수가 처음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2016년 찾아온 조선업의 절망적인 위기 이후 감소는 다시 뚜렷해졌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7573명 중 현재 고용보험에 가입된 인원은 2876명으로 3598명은 고용보험 미가입자로 드러났다는 점이다.

미가입자 역시 2013년을 제외한 2010~2011년에 1467명, 2016~2017년에 710명을 기록하며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발생, 조선업에서 이탈한 근로자들은 현재 재취업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취업한 조선업 근로자 중 대부분이 조선업과 전혀 관련 없는 서비스업, 건축업, 육상 여객운송업, 기타 금속 가공제조업 등으로 이직했다.

8년간 업종을 바꾼 사람은 총 2073명으로 이중 건설업 이직이 14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반 기계 제조업 136명, 건축기술·엔지니어링 관련 기술 서비스업 129명 순으로 조사됐다.

이중 조선업의 전문성을 살린 근로자는 용접원, 도장기 및 도금기 조작원 등 특수 기능직으로 이들만이 관련 업계에 재취업했다.

연구팀 보고서에 따르면 통영에 있던 수많은 조선업 근로자들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로 이동했다.

이중 조선업 근로자의 39%를 기록하며 조선업의 주요 연령대인 30~39세 근로자들은 대부분 인접 도시로 이동했다.

특히 조선업 빅3가 자리 잡고 있는 거제로 645명의 근로자가 이동하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외에도 사천과 창원, 부산, 울산 등 인근도시로의 근로자 유출이 높았다.

주목할 부분은 고성으로 이동한 근로자의 수도 172명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항공기·우주선 및 부품 제조업으로의 취업이 2016년 이후 크게 증가했는데 통영에서 고성으로 이동한 근로자 수치와 궤를 같이한다.

또 젊은 연령대의 조선업 종사자들의 유출은 매우 심각했다. 조선업 근로자 전체 중 34.9%를 자치하던 만 15~29세 연령대의 근로자들은 대부분 수도권 및 경기도권을 비롯한 장거리 이동을 선호했다.

이들은 통영을 떠나는 이유로 통영 내에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장소가 적고 새로운 일자리 구직이 어려워 다른 산업에 취직하고자 타 지역으로 이동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진은 “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령대와 지역적 특성에 맞는 정책을 집행해야한다. 조선업 근로자 중 주를 이루는 40대의 경우 생활 여건상 이동에 적극적이지 못하다. 이들에게는 동일 산업이 갖춰진 내 근거리 지역으로의 일자리 알선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30대의 경우 물리적 이동이 유연하기에 미래를 설계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주효할 것으로 보인다. 50대 이상의 경우는 일자리 기회 자체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의 정책은 지역이 고용충격에 대응하는 유효한 정책이지만 그 효과가 단기적이다. 구체적인 영향을 자세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