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치마을→원동마을→쓰레기매립장부지, 대상지 및 내용 변경에도 주민반대 완강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주민 소득을 창출한다는 ‘스마트환경에너지마을 조성사업’이 원동마을에서 도산면 구 쓰레기매립장 부지(도선리 434)로 사업대상지가 변경된다.

통영시의 ‘스마트환경에너지마을 조성사업’은 지난해 초 환경부의 ‘2014년 환경에너지 조성사업’ 대상지로 통영시가 선정됨에 따라 추진됐다.

스마트환경에너지마을사업은 통영시 도산면 일원에 총사업비 56억원(국비26, 도비9, 시비 21)을 투입,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시설을 조성해 가축분뇨, 음식물쓰레기, 수산잔재물로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며, 열병합발전으로 전력 생산을 하고 폐열(온수)을 마을 공동시설 및 비닐하우스에 공급해 주민 소득으로 연결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지난 28일 통영시청 회의실에서 스마트 환경에너지마을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최종 보고회가 열렸다.

기본계획 용역을 맡은 평화엔지니어링의 브리핑에 따르면, 도산면 원동마을로 예정했던 사업대상지를 여의치 고개 옆 구 쓰레기 매립장으로 변경했다.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폐자원도 ‘음식물류 폐기물 및 가축분뇨’에서 ‘음폐수 및 가축분뇨’로 재검토했다.

또한 지난 2월 기본계획 착수보고회 당시 제시되었던 ‘수경인삼 재배’ 및 ‘마을만들기’ 등 사업 내용은 최종보고에서 ‘생태공원 및 체험관’ 조성으로 바꿨다.

이처럼 사업대상지와 사업 내용을 바꾼 이유는 도산면 원동마을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이 지난 4월 탄원서와 현수막 등으로 집단 민원을 제기했기 때문.

결국 28일 최종보고회에서 원동마을과 직선거리 700m 이상 떨어진 새 부지가 제시되고 음식물쓰레기 반입도 변경되었으나, 이마저도 마을주민 대표들은 “악취가 마을에 유입될 것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사업 철회 주장을 고수했다.

보고회에 참석한 지역구 시의원들도 주민들 입장을 거들었다.
전병일 의원은 “사업을 지속추진해야 할지 의문이다. RCE생태공원이 있는데 또 다시 생태공원이 통영에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강정관 의원은 “276명 주민들이 사업반대 탄원서를 냈다. 편익분석에 앞서 지역주민 정서부터 돌아봐야 한다”며 “폐자원을 도산면 외부에서 반입하게 될 텐데 스마트환경에너지마을 사업이라는 취지에 맞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마을주민대표 손명재씨는 “타 지역 시설 견학 후 반대한 이유는 당초 설명회에서 들은 내용과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기 때문”이라며 사업 반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김동진 시장은 보고회를 정리하며 “마을에서 끝까지 반대하면 결국 안되는 사업이다”라면서도 “그러나 반대의 근거가 명확해야 한다는 것도 중요하다. 국내외 유사 사례가 많은데 다른 곳에서는 왜 하고 있는지 이유를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환경부에서도 앞선 사례가 주민들에게 득이 되니까 확대하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통영시는 내달 3일 기본계획 용역보고서 최종 작성과 제출을 앞두고 다시 주민들을 설득하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다.

한편 당초 통영시가 환경부의 공모사업에 응모한 계기는 도산면 덕치마을의 퇴비공장으로, 푸른통영21이 덕치마을 주민 설득작업을 준비해왔으나 윤미숙 사무국장의 해임 등 혼선을 빚다 결국 원동마을로 대상지를 변경해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그러나 지난 4월 원동마을 주민들이 주민동의서 무효와 사업철회를 주장하며 민원을 제기하자 사업추진방향이 또 다시 재검토됐다.

28일 기본계획 최종보고회에서도 주민들의 반대 입장이 재확인된 가운데, 사업 표류의 원인인 주민들의 행정 불신을 통영시가 어떻게 극복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