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적조‧고수온 어류폐사체 발생 대비 간담회
고수온 가능성↑, 폐사체 매몰지 확보, 동결보관 등 과제 산적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면서 고수온 발생가능성이 높아지자 양식 어민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다.

문제는 폐사체를 처리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기후변화로 고수온이 발생, 양식어류 폐사가 매해 증가하고 있지만 마땅한 처리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지난 9일 통영시는 적조‧고수온 어류폐사체 발생 대비 간담회를 개최, 올해 발생할 어류폐사체 처리에 대한 열띤 논의를 펼쳤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양우 어업진흥과장을 비롯 관계 공무원들과 이윤수 통영해수어류양식회장, 강남태 한산어류양식자율관리공동체 위원장, 각 수협 관계 과장들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올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는 대규모 양식어류 폐사와 폐사체 처리로 인한 2차 오염방지를 위해 마련됐다.

현재 통영 내 어류양식은 총 어가 114개, 16만5천 마리의 어류를 양식하고 있다. 주로 조피볼락과 돔류를 양식하고 있어 고수온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지난 2018년에는 475만 마리의 어류가 폐사, 그 무게가 286톤에 이르며 피해금액은 40억을 넘어섰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올해도 고수온 현상이 어김없이 발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상태라 그 피해를 피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안타깝게도 어류양식 폐사체는 마땅한 처리방법이 없다. 대부분의 양을 매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비료화 시키는 양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현재 통영시는 어류폐사체 임시 보관통을 9통을 제작한다는 계획이지만 이조차 쉽지 않다. 어류폐사체가 더운 날씨에 빨리 부패하다보니 그 악취에 대한 민원이 심각하다.

양식업계에서는 이 와중에 보관통을 설치하는 것은 그야말로 민원 덩어리를 설치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또 현재 통영 관내의 유일한 폐기물 처리업체가 운영을 중단한 상태라 수거와 처리 비용이 매우 크다.

심지어 경남도 내에는 처리업체가 없는 상황이라 전라남도까지 이송해야만 처리가 가능하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각 권역별 매몰지를 확보해 폐사체를 매몰하는 것이지만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다.

이날 회의에서 이윤수 회장은 폐사체를 분쇄해 바다에 투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죽은 어류를 분쇄해 바다에 뿌리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바다의 자정능력을 볼 때 바다에서 자란 어류를 바다에 뿌리는 것은 환경 악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정확한 영향평가를 통해 법적인 규제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태 위원장은 냉동보관시설 구축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강 위원장은 “무더운 여름철에 폐사체를 옮기는 것은 매우 힘들다. 옮기는 것 자체는 가능하나 그 과정에서 발생할 민원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다”라고 손사레 쳤다.

또 “냉동시설을 권역별로 구축해 폐사체를 동결 보관해뒀다가 여름 이후 적절한 시기에 매몰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내 수협도 입을 열었다. 김현영 욕지수협 지도과장은 “시에서 매몰지를 확보할 예산이 있다면 당장이라고 부지 확보에 나서겠다. 어업인들이 힘들어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시의 확실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시간이 넘는 열띤 논의 끝에 통영시는 “각 권역의 어업인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매몰 부지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를 해주길 부탁드린다. 권역별 매몰 부지가 확보된다면 예산 편성을 통해 매입을 진행, 중장비를 투입해 신속하게 진행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