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년간 8천128만 마리 폐사, 피해액만 891억원에 달해
올해 3년 전 고수온에 대규모 피해 이후 최다 경남 집중 피해
고수온 대응장비 전남지역 편중, 고수온 종합 대책 마련 필요

 

올해 7월 전국 월평균 수온이 23.86℃로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온을 기록하는 등 고수온 발생 빈도가 앞으로 더 잦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고수온으로 인한 어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시급한 대책 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별첨#1)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통영・고성)이 해양수산부와 각 지자체로부터 2017년~2021년 8월까지 '최근 5년간 고수온으로 인한 어가 피해(어류 기준) 발생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1,478어가가 고수온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며 8천127만 4천197마리가 폐사, 피해액만 890억 5천57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첨#2)

고수온 피해가 가장 컸던 2018년 이후 최대 피해를 입은 올해의 경우 폐사 어구는 1천153만 8천589마리이며 피해액은 188억 9천59만원에 달한다. 이중 경남 지역이 66% 가량(폐사어구 기준)에 해당하는 피해 (761만 3천마리 / 111억 600만원)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수온 피해가 발생한 지 2달여 지난 9월 22일에서야 해양수산부는 고수온 및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어업인들의 피해 복구와 경영 안전을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9억원), 피해복구자금(16억원) 총 25억원을 투입해 피해 어가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에 대해 어민들은 정부의 늦은 대응과 피해액 대비 턱없이 부족한 지원 금액에 시름만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정부는 '재해 및 안전관리 기본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및 '자연재난구호 및 복구 비용 부담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 재난으로부터 피해 입은 어업인들에 대해 피해복구비를 지원하고 있는데 해당 요령에 의거 사유시설의 경우 피해조사 및 복구계획을 수립할 때 피해복구비를 최대 5천만원 이상 초과할 수 없도록 하고 있어 이 역시 실질적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연재해에 대비해 수협중앙회 차원에서는 양식수산물재해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양식수산물재해보험의 전체 가입율은 25% 수준이며 특히 고수온 보험 제도(특약)는 전국 평균 가입율이 8.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별첨#3)

고수온은 해마다 발생하는 재해가 아니기 때문에 어민들은 가입을 기피하고 있는데 최근 고수온 피해 규모 및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 국고보조만으로는 피해보상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올해와 같은 사태에 대비하고 이를 예방・보완하기 위해서라도 어가보험 혜택 현실화 및 가입율을 높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해보인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고수온 대응지원 명목으로 각 지자체에 액화산소, 차광막 등의 고수온 대응장비 구입을 지원(국비80%/자부담20%)하고 있는데 어가 수가 많은 전남 지역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지원받은 국비 지원금과 자체 예산을 통해 각 지자체는 고수온 및 적조 장비를 마련하고 있는데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남 3천699대, 울산 348대, 경남 281대, 부산 280대, 충남 257대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지역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별첨#4)

전남 지역이 어가 수가 많고, 어업 현장 범위가 넓어 장비 수요가 많을 수밖에 없다하더라도 고수온 피해는 올해와 같이 항상 전남 지역에만 집중되어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전국적인 자연재해라는 점에서 전국 고수온 대응 장비 보유 현황 및 작동 여부 확인 등 해수부 차원의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각 지자체 별로 지원받은 예산과 지자체 예산을 투입해 필요에 따른 장비를 구매하고 있으며 전남(전복양식 등)과 경남 지역(가두리양식 등)의 어업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보유 장비 규모나 성능 등을 따져보면 지역별 편차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고수온 예방 및 방지를 위한 중요 장비인 산소공급기, 액화산소공급기, 저층해수 공급장치 등 필수장비의 현황을 살펴보더라도 전남에 편중돼 있음이 확인되는 바, 고수온 피해가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특성을 고려해 자연재해에 대해 적재적소에 필요한 장비지원과 신속한 대책 마련이 강구돼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정점식 의원은 “올해 고수온으로 인해 대규모 피해를 입은 어업인들께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 고수온이 발생하면 대규모 어가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무부처인 해수부 차원의 신속하고 내실있는 대책이 필요하지만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주로 고수온 피해는 양식 어가에서 발생하고 있음에도 현재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율이 저조한 것은 문제다. 해수부 차원의 보험가입 제고 방안 마련과 고수온 대응 장비에 관한 점검 등 특단의 조치를 통해 향후 또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고수온에 철저히 대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별첨#1) 최근 10년간 7월 평균 수온 현황

(단위 : )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7월 평균수온

22.70

21.47

21.68

21.53

22.25

22.00

22.82

21.96

21.11

23.86

평년 대비 7월 수온차

0.56

-0.67

-0.46

-0.61

0.12

-0.13

0.69

-0.18

-1.03

1.72

 

*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실시간 해양환경 어장정보시스템)

* 평균값 : 10년 이상 관측자료가 있는 10개소 평균

동해(기장, 영덕, 강릉) / 남해(통영 풍화, 남해 강진, 여수 신월) / 서해(서산 지곡, 보령 효자, 목포) / 제주(제주 용담)

 

 

(별첨#2) 각 지자체 고수온 피해(어류피해 기준) 발생 현황

(단위 : 마리, 천원)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제주특별도

총계

2017

폐사량

-

650,000

3,430,000

60,000

11,000

-

-

150,000

-

569,170

4,870,170

피해액

-

572,851

4,725,410

69,631

49,665

-

-

109,809

-

2,354,499

7,881,865

2018

폐사량

332,164

806,000

6,860,000

64,740

51,000

-

-

54,100,000

1,552,000

639,357

64,405,261

피해액

380,643

678,260

9,103,000

38,242

190,510

-

-

47,125,746

2,918,367

631,169

61,065,937

2019

폐사량

-

44,000

320,000

37,931

-

-

-

-

-

-

401,931

피해액

-

135,000

747,000

86,051

-

-

-

-

-

-

968,051

2020

폐사량

-

-

-

-

-

-

-

-

-

58,246

58,246

피해액

-

-

-

-

-

-

-

-

-

244,122

244,122

2021.8

폐사량

422,800

473,389

7,613,000

226,000

-

-

-

2,290,000

512,000

1,400

11,538,589

피해액

82,563

3,256,305

11,106,000

119,580

-

-

-

3,300,000

1,022,000

4,147

18,890,595

 

* 출처 : 의원실 재구성 (각 지자체 자료 취합) / 2021년도의 경우 신고접수 현황 기준(현재 최종 집계 중)

 

(별첨#3) 지역별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 및 고수온 보험 가입현황 (2021.9월 기준)

구분

대상

전체 가입어가

고수온 가입어가

어가

가입률

어가

가입률

합계

8,139

2,046

25.1%

725

8.9%

경기·인천

75

1

1.3%

-

0.0%

강원

94

9

9.6%

3

3.2%

충청

317

48

15.1%

38

12.0%

전북

143

2

1.4%

1

0.7%

전남

4,624

996

21.5%

448

9.7%

 

완도군

1,771

657

37.1%

324

18.3%

 

해남군

528

102

19.3%

52

9.8%

 

진도군

560

43

7.7%

41

7.3%

 

강진군

23

1

4.3%

0

0.0%

 

신안군

363

23

6.3%

14

3.9%

 

무안군

93

1

1.1%

0

0.0%

 

여수시

755

145

19.2%

5

0.7%

 

고흥군

312

12

3.8%

10

3.2%

 

장흥군

90

6

6.7%

2

2.2%

 

곡성군

6

4

66.7%

0

0.0%

 

영암군

9

2

22.2%

0

0.0%

 

함평군

22

0

0.0%

0

0.0%

 

기타

92

0

0.0%

0

0.0%

경북

128

43

33.6%

43

33.6%

경남

2,298

657

28.6%

73

3.2%

 

통영시

935

239

25.6%

22

2.4%

 

사천시

215

8

3.7%

3

1.4%

 

거제시

294

119

40.5%

10

3.4%

 

고성군

217

132

60.8%

11

5.1%

 

남해군

193

87

45.1%

18

9.3%

 

하동군

33

33

100.0%

9

27.3%

 

창원시

411

39

9.5%

0

0.0%

부산

140

52

37.1%

52

37.1%

제주

320

238

74.4%

67

20.9%

 

* 출처 : 수협중앙회

 

품목별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 및 고수온 보험 가입현황 (2021.9월 기준)

구분

품목 

2020.9월 기준

2021.9.23 기준

대상

어가

가입률

대상

전체 가입어가

고수온 가입어가

어가

가입률

어가

가입률

합계

9,586

2,102

21.9%

8,139

2,046

25.1%

725

8.9%

본사업

(17)

넙치

513

330

64.3%

490

335

68.4%

104

21.2%

전복

1,882

697

37.0%

1,204

575

47.8%

287

23.8%

1,386

130

9.4%

1,462

472

32.3%

27

1.8%

볼락류

955

115

12.0%

500

103

20.6%

29

5.8%

돔류

899

145

16.1%

607

101

16.6%

6

1.0%

농어

237

24

10.1%

103

22

21.4%

8

7.8%

쥐치

77

6

7.8%

88

6

6.8%

1

1.1%

숭어

101

82

81.2%

116

61

52.6%

19

16.4%

능성어

82

3

3.7%

35

7

20.0%

4

11.4%

강도다리

78

44

56.4%

94

61

64.9%

35

37.2%

홍합

376

79

21.0%

479

71

14.8%

0

0.0%

가리비

82

5

6.1%

170

9

5.3%

2

1.2%

다시마

639

417

65.3%

329

198

60.2%

198

60.2%

268

-

-

205

0

0.0%

0

0.0%

시범사업

(11)

1,019

-

-

1,426

0

0.0%

0

0.0%

멍게

241

14

5.8%

133

3

2.3%

3

2.3%

미역

119

1

0.8%

177

0

0.0%

0

0.0%

뱀장어

170

-

-

147

11

7.5%

1

0.7%

송어

58

3

5.2%

67

2

3.0%

1

1.5%

미더덕

100

-

-

93

0

0.0%

0

0.0%

오만둥이

100

-

-

93

0

0.0%

0

0.0%

터봇

20

6

30.0%

11

7

63.6%

0

0.0%

메기

95

1

1.1%

32

2

6.3%

0

0.0%

향어

28

-

-

17

0

0.0%

0

0.0%

전복종자

61

-

-

61

0

0.0%

0

0.0%

 

* 출처 : 수협중앙회

 

(별첨#4) 고수온 대응장비 현황(적조 방제장비 포함)

 

(단위 : )

 

구분

부산

울산

강원

충남

전남

경북

경남

16,275

550

357

68

932

9,574

2,631

2,163

산소공급기

3,372

267

6

47

170

2,762

79

41

액화산소

공급기

1,686

13

342

9

87

892

155

188

저층해수

공급장치

117

 -

- 

4

- 

45

16

52

해수여과기

46

-

-

-

-

-

-

46

순환펌프

5,316

267

2

1

-

2,161

1,831

1,054

적조경보기

17

3

-

-

-

-

-

14

저수조

13

-

-

-

-

-

-

13

기타

5,708

-

7

7

675

3,714

550

755

 

* 출처 : 해양수산부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