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최후의 보루
수사권 조정·자치경찰제 시행착오 최소화
현장 직원 존중·범죄 피해자 보호에 중점
“시민도 경찰, 시 곳곳 사회 감시망 당부”

강기중 통영경찰서장은 경찰의 날을 맞아 인터뷰에서 “시민이 경찰이 될 수 있고 경찰도 시민이 될 수 있다”며 시민 모두 경찰이라는 생각으로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 감시망을 당부했다.
강기중 통영경찰서장은 경찰의 날을 맞아 인터뷰에서 “시민이 경찰이 될 수 있고 경찰도 시민이 될 수 있다”며 시민 모두 경찰이라는 생각으로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 감시망을 당부했다.

■ 10월 21일 경찰의 날 특집 강기중 통영경찰서장에게 듣는다

“신속 현장출동‧공정한 법집행…시민곁으로 한발짝 더 가까이”

“통영시를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전하게 그리고 시민께 존경과 사랑받는 경찰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경찰의 숙원사업인 검경수사권 조정법안이 통과됐다. 국정원 대공수사권도 경찰로 이관됐다. 또한 올해 7월 들어 지방자치제도의 한축을 담당하는 자치경찰제가 시행됐다. 경찰은 창설 이래 조직의 대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책임과 권한이 비대해진 만큼 시민들이 경찰에게 바라는 요구와 기대도 크다.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찰은 시험대에 올랐다.

10월 21일은 경찰의 날이다. 12만 경찰관들의 임관 당시 초심을 유지하고 과오를 반성하며 민중의 지팡이로서 각오를 되새기는 날이다. 경찰은 현재 경찰의 명운을 걸고 조직의 역량을 총동원해 ‘국민의 경찰’로 거듭하기 위해 조직 재정비에 여념이 없다. 76주년 경찰의 날을 맞아 통영경찰서 수장인 강기중 경찰서장을 만나 새롭게 변화하는 경찰의 모습을 들어봤다.

강기중 통영경찰서장은 경찰서장이라는 자리는 상관으로서 위에서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경찰관 직무범위 내 소신껏 그리고 당당하게 법집행을 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강기중 서장이 직원들과 스스럼 없이 소통하는 장면.
강기중 통영경찰서장은 경찰서장이라는 자리는 상관으로서 위에서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경찰관 직무범위 내 소신껏 그리고 당당하게 법집행을 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강기중 서장이 직원들과 스스럼 없이 소통하는 장면.

“조직의 수장이라니요? 서장은 경찰서 직원들을 서포트 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로 시작발언을 했다. 상관으로서 군림하기 보단 직원들과 스스럼 없이 소통을 즐기는 강기중 경찰서장 지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강기중 서장은 경남 고성 출신으로 지난 1994년 경찰간부후보생으로 공직의 첫발을 내딛었다.

강 서장은 “원래 조용하고 키도 작던 아이가 의무경찰로 군 복무를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회적 약자를 돕는 정의로운 경찰이 되겠다고 결심했다. 나는 초심을 잃지 않고 현재도 사회적 약자, 어려운 사람들에게 경찰은 최후의 보루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힘줘 말했다.

그의 신념이 경찰 생활 28년 동안 흔들리지 않고 더욱 확고해진 계기도 말해줬다. 강 서장은 “지난 2001년 내가 교통관리계장을 할 때 일이다. 새벽 뺑소니 사고가 발생했다. 출동 당시 현장에 증거도 없고 전 직원을 동원해 밤 10시까지 일대 지역을 샅샅이 수색했지만 성과가 없었다. 철수하고 퇴근해 집에 있는데 도저히 뺑소니 사고 피해자의 얼굴이 머릿속에 떠나지 않아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정황상 또는 본능적으로 범인이 내 주위에 살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밤 11시, 이부자리를 박차고 범인을 추적했다. 새벽까지 아파트 단지를 전부 수색한 결과 바퀴에 핏자국이 있는 차량을 발견했다. 수사결과 범인으로 밝혀졌다. 경찰이 포기하는 순간 범인은 웃는다. 포기하지 않고 뺑소니 피해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이 범인을 잡겠끔 하지 않았나 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후 강 서장은 경무·인사‧생활안전·치안지도 등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으며 경찰내의 대표적인 ‘기획통’이 됐다. 그런 기획통이 수사권 조정·자치경찰제 정착이라는 두가지 거대 과업의 해결사로 낙점돼 올해 1월 통영경찰서장으로 취임했다.

강 서장은 “현재 경찰은 수사권 조정과 자치경찰제 라는 큰 변화의 물결 속에 있다. 수사권 조정은 경찰이 이제는 검찰의 수사지휘에서 벗어나 명실상부 수사의 주체가 된 것이다. 하지만 수사의 주체라고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권한이 늘어났으면 그만큼 책임의 무게감도 커진 것이다. 수사개시부터 종결까지 단 한명의 억울한 피해자가 없어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자치경찰제에서도 강 서장은 “과거 중앙에서 일률적으로 시행되던 치안정책들이 자치경찰제시행으로 지역 특성에 맞게 추진된다. 여성‧아동·교통정책 등 통영주민의 의견을 다양하게 경청하고 시와 소통하면서 주민밀착형 치안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경찰이 시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법권과 행정권 행사를 무리없이 잘 수행할 수 있겠느냐 라는 반문도 제기한다. 강 서장은 “물론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수사권조정은 1954년 형사소송법이 제정된지 68년만에 형사사법시스템의 대변화이며 자치경찰제도 미국처럼 연방경찰·지방경찰로처럼 완전한 이원화된 모델이 아니다. 생소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성급하게 임하지 말고 시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제도 정착의 의지를 가지고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강 서장은 제도 정착의 성공의 키를 '시민의 신뢰를 얻는 것'으로 꼽았다. 강 서장은 취임 직후부터 강조한 것이 ▲신속 정확한 현장도착 ▲공정한 법집행 ▲법인 잡는 기관에서 피해자 보호 우선 ▲보이스 피싱 등 신종사기 예방 등을 강조했다. 강 서장은 “시민은 치안고객이다. 앞서 열거한 것 들은 시민들이 경찰에 맡겨준 임무를 수행하는 것, 국민을 위한 당연한 부담이다. 기본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업무를 하면서 한발짝 더 통영시민을 곁으로 다가가는 통영경찰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긴 시간 인터뷰를 끝으로 강 서장은 “우리 통영경찰서 직원들과 시민분들께 꼭 드리고 싶은 말이 있다. 경찰서내 직원들의 70%가 현장직원들이다. 나는 현장 직원들의 현장에서의 판단력을 존중한다. 사건‧사고 처리과정에서 당시 현장에서 발로 뛰고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는 그들을 믿는다. 현장 경찰들을 우대하는 문화를 정착시킬 것과 시민분께는 항상 우리 경찰을 믿고 의지해달라. 통영시민 여러분들이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우리 경찰은 밤낮 가리지 않고 항상 여러분 곁에 있다. 또한 시민이 경찰이 될 수 있고 경찰도 시민이 될 수 있다. 시민 모두 경찰이라는 생각으로 곳곳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사회 감시망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