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3천400여 개의 섬으로 구성된 세계 다도해 국가 중 하나이다.

이미 도서개발촉진법이 제정돼 도서지역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도서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면서 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오고 있다.

그러나 제도적 장치와 계획만으로는 섬이 가지고 있는 복잡한 문제를 다 풀어갈 수는 없다. 섬 주민들의 생활기반, 지속가능성, 자생력 등 제한된 섬 공간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는 너무도 많다.

정부가 섬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의 가치, 섬 주민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섬의 날’ 지정과 더불어 국립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하기로 한 것은 참으로 잘한 일이다.

한국섬진흥원은 섬 관련 조사와 연구 평가, 섬종합개발 계획 등의 정책 수립 지원, 국내외 교류협력 및 지역발전 컨설팅 등을 수행하는 정부 출연기관이다.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407억원, 부가가지효과 274억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전국에 섬을 가진 지자체가 동시다발적으로 유치 TF팀을 구성하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섬이 가장 많은 신안과 목포, 여수, 완도 등의 전남 지역을 비롯 전북 군산, 충북 보령, 경북 울릉군, 인천, 경남 남해에 이르기까지 그 열기는 뜨겁다 못해 네거티브 비방 전략마저 난무하고 있다.

통영 역시 추진단을 구성하고 사활을 걸고 나섰다. 일각에서는 전남의 짜여진 프레임에 행정력과 예산 낭비, 실패 시 시민 좌절감 등을 우려하고는 있지만 ‘통영이 최적지’인 것은 사실이다.

국내에서 두 번째로 섬이 많은 도시 통영, 대한민국 도서 중심부 이자 균형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진흥원의 취지에 가장 적합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주요 배점 요인인 균형발전 파급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입지여건, 섬발전 정책과의 연관성을 최대한 부각해야 한다. 섬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섬 지원 정책의 선도에 통영이 서야 할 것이다.

행정과 정치, 시민들의 뜨거운 열망으로 총력전을 펼쳐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