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4월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소멸위험지역 신규로 선정됐다. 9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역별 실업률 수치에서도 228개 시·군·구 중 시 지역에서 세 번째로 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지표에서 지방소멸 위험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그야 말로 위기다.

비단 이 문제는 지방에 국한하지 않는다. 정부 역시 국가 및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올해부터 10년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을 추진한다. 인구감소가 심각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우리나라 총인구는 약 5천174만명으로 지난해 대비 9만여 명이 줄었다. 전체 인구 절반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등 인구 쏠림현상도 심각해지고 있다.

경남도의 인구수 또한 2010년부터 계속 감소세에 있다. 통영시도 2020년 5월 인구 13만선이 무너지고 인구증감률도 도내 시 단위 중 가장 높은 상황이다.

더욱이 조선업 이외 2차 산업기반이 취약한 지역 특성상 조선 경기 침체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청년인구 유출, 혼인율·출생률 감소와 고령화 현상을 불러왔다.

장래 인구추계 또한 통영시 생산가능 인구는 현재 8만4천여 명에서 2037년에는 6만여 명 대로 떨어지고 중위 연령대도 48세에서 58세로 고령화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엎친데 덮친격 유소년층과 청년층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지난 21일 지방소멸 위험지역 대책방안을 묻는 시정질문 답변을 통해 지역 간 인구 뺏어오기 식 인구정책 사업 지양을 비롯 통영시 실정에 맞는 임신·출생·보육·일자리·고령인구·주거환경 등 분야별 인구정책 추진, 조선 산업 정상화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추진으로 인구감소 폭을 점차 줄여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방소멸은 이제 남의 동네 이야기가 아니다. 통영시가 직면한 문제다. 소멸위험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반 조성은 필수다. 뼈를 깎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의 인프라 구축이 최우선 돼야 한다. 인구 유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과 중장기적인 플랜이 필요하다.

소멸위험지역 신규 선정을 예사롭게 넘겨서는 안 될 일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