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 인구가 2014년 5월 13만9천명에서 2023년 6월 현재 12만1천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만9천명에서 2만8천명으로 증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선제적 대응과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발걸음은 바쁘지만 청년 인구정책은 다소 부진하다. 이는 지역 청년들의 유출이 잦아지는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데 있다.

천영기 통영시장도 지난 11일 열린 통영시 인구의 날 행사에서 “인구감소 완화를 위해 4개 분야 113개 분야별 인구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피부에 와 닿는 느낌이 약하다”고 했다.

현재 통영시 청년인구는 2만1천992명으로 전체 인구의 18.12%를 차지한다. 실제로 지난해 2월 인구감소 관심지역으로 지정된 통영시 도시 인구유출 연령분포는 20~39세 청년층에 집중돼 있다. 이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지역 실정에 맞는 청년 인구정책이 시행돼야 한다는 의미다.

그 과정에서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한 단순 정책들만 펴낸다면 지혜로운 대안이 절대 되지 못한다. 오히려 지역 정착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지역에서 뿌리내리고,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령대별 인구정책에서 비롯된 청년정책이 수립·운영돼야 한다. 두 손 놓고 있어서는 청년들의 유출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지역 인구감소 문제가 심각한데도 통영시는 인구정책추진위원회를 지난해 이어 올해도 단 한차례 열지 않았다. 그간 코로나19로 회의 개최가 힘들었다고 항변하지만 관심도와 의지의 문제다. 소극행정은 결국 발전 대신 퇴보만 가져온다.

인구정책은 지방자치단체의 시급한 이슈임에도 불구, 통영시 인구정책은 뒷전으로 미뤄지고 있다. 통영시의회 의원들 역시 지난 6월 행정사무감사에서 “인구포럼을 비롯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 제대로 된 인구정책들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우려와 인구 공동화 현상은 비단 통영시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지자체가 당면한 문제다. 이러한 현실 앞에 통영시는 인구유입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과 사업을 발굴, 시책으로 운영해야 한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역에서 청년들마저 떠나보낸다면 통영시의 미래는 절망뿐이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