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 7월7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을 크게 무찔렀다.

1593년 8월1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 받아 한산도에 통제영 본영을 설치했을 때 지금의 제승당 자리에서 막료 장수들과 작전 회의를 하는 운주당(運籌堂)을 세웠다.

정유재란 때 폐허가 된 이곳에 제107대 통제사 조경(趙儆)이 영조 16년 1740년 유허비(遺墟碑)를 세우면서 운주당 옛터에 다시 집을 짓고 제승당(制勝堂)이라 이름 했는데, 지금 걸려 있는 "制勝堂" 현판은 제 107대 통제사 조경이 쓴 글씨이다.

1761년 영조37년, 공의 5대 손 통제사 이태상이 중수했다. 지금의 건물은 1976년, 제승당정화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세운 것이다.

제승은 『손자병법』의 “水因地而制流 兵因敵而制勝"(물은 앞에 놓여있는 지형에 따라 물줄기를 바꾼다. 군대도 상대방의 모습에 따라 승리의 전술을 바꿔야 한다.)란 글에서 따온 것이다.

이 밖에도 건물 안에는 제승당기, 제승당중수기, 시, 서문, 시가, 편액 등이 전한다.

1) 제승당(制勝堂) / 통영잡영10절(統營雜詠十截) 中, 오횡묵(吳宖默) 1886년 영남향별사, 고성부사(固城府使, 1893~1894년).
風雨壬辰事己空 폭풍우 친 임진년 변고는 간데없고
蘬然惟有魯靈宮 흘러간 세월에 오직 낡은 신전만 있구나.
海田桑葉年年碧 갯벌 가 뽕나무 잎은 연연히 푸르고
採入村娥繡戰功 누에 실 뽑은 시골아낙이 싸우듯 애써 수를 놓네.

2) 한산도에 머물다 제승당에 올라(泊閑山島 登制勝堂) / 신좌모(申佐模,1799년∼1877년) 이조판서.
閒山港口賊巢燻 한산도 항구 적의 소굴에 연기 가득하니
尙想當年克捷勳 그 당시 싸움에 이긴 공적이 생각난다.
赤壁磯橫公瑾寨 적벽의 물가를 휘저은 주유의 성채에다,
黃天蕩撼岳家軍 누런 하늘을 뒤흔든 악가군이었다지.
魚龍聽誓懸天日 어룡은 하늘의 해를 걸고 맹세하고
龜鳥排行掣海雲 거북과 새는 줄지어 바다구름 끌어가는데
制勝堂前千丈水 제승당 앞의 천길 물속에서
至今啾哭夜深聞 지금도 우는 곡소리, 밤 깊도록 들려온다.
[주] 악가군(岳家軍) : 중국 송나라의 명장 악비(岳飛)의 군대. 용감하고 군대규율이 엄했으며 전투에 강해서 귀신 아귀 같고 백성을 위해서는 굶어 죽더라도 폐를 끼치지 않아 명성이 높았다. 악비는 소수 정예로 다수를 치는 데 뛰어났다.

3) 봉화 통제사 신관호 상서 '제승당 회고'(奉和統使申威堂(觀浩)尙書制勝堂懷古) / 강위(姜瑋,1820년~1884년) 조선 후기의 한학자, 개화사상가.
滄溟大酒百憂平 넓은 바다에 술고래가 온갖 근심을 평정하고
天入金壺水拍城 하늘에 든 물시계는 바닷물이 성(城)을 치듯하다.
樓船穩破風濤壯 다락배는 바람과 물결에 씩씩하게 출렁이고
旗纛消搖海岳淸 큰 깃발 휘날리며 바다와 산이 선명하네.
三方巨鎭今無餉 삼면의 거진(巨鎭)에는 이제 군량이 없으니
一策明時乞制兵 평화로운 시절에는 기병제가 한 방법이리라.
霜月滿空鴻鴈睡 동짓달 하늘 가득한 기러기에 졸음 쏟아지니
不堪重溯撫刀情 삼가 거스를 수가 없어, 칼을 어루만지는 이유라네.

[주1] 은전금호(銀箭金壺) : 고대에 시간을 알리는 계기, 금호는 구리로 만드는데 병처럼 생긴 壺속에는 물을 저장하고 있고, 호의 바닥에는 물을 저장하고 있다. 호의 바닥에는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이 똑똑 떨어지게 되어 있다.
[주2] 걸제병(乞制兵) : 기병제, 급여 지급하는 직업군인.

4) 제승당 야음(制勝堂夜吟)  1595년 10월 / 이순신 장군.
水國秋光暮 한 바다에 가을빛 저물었는데 
驚寒鴈陣高 찬바람에 놀란 기러기 높이 떳구나. 
憂心展轉夜 가슴에 근심 가득해 잠 못 드는 밤,
殘月照弓刀 새벽달이 칼과 활을 비추네.  

5) 제승당야음(制勝堂夜吟) 충무공원운(忠武公原韻) 차운한 한시(漢詩)편.

(1) 충무공 원운에 보태어(附忠武公原韵) 1594년 통제영에서 실시된 무과에 참여 하면서 있었던 일을 기록한다. 갑오년 사월 무과 별시 시관으로 통제영에 가서 무사를 뽑는 것을 마치고, 도원수 권율, 통제사 이순신, 전라 좌수사 이억기, 충청수사 구사직, 장흥부사 황세덕, 고성군수 조응도, 웅천현감 이운룡과 함께 했다. 삼가 이통제사의 '한산도음' 한수에 화하여 통제사에게 시를 지어 받친다. [甲午四月 以武科別試試官赴統營 試取武士畢 與權都元帥慄, 李統相舜臣, 全羅左水使李億祺, 忠淸水使具思稷, 長興府使黃世德, 固城郡守趙凝道, 熊川縣監李雲龍. 謹和李統相閑山島吟一絶 呈李統相 ] / 태촌집(泰村集) 고상안(高尙顔,1553년~1623년) 조선중기 학자.  
(附忠武公原韵) 충무공 원운에 더하여.
忠烈秋霜凜 충성과 절의는 가을 찬 서리에 늠름하고
聲名北斗高 명성은 북두성에 드높은데
腥塵掃未盡 더러운 먼지 아직 다 쓸어버리지 못해
夜夜撫龍刀 밤마다 용검을 어루만지네.

(2) 삼가 이순신한산도 차운(謹次李忠武 (舜臣) 閒山島韻 )/ 유혁연(柳赫然) 통제사 1656년 作.
號令山河動 한번 호령하니 산하가 요동하고
功名日月高 공명은 해와 달 같이 높았다네.
如今破壁上 이제는 깨어진 벽 위에 걸려있어도
夜吼舊龍刀 밤이면 옛 쌍룡도가 울리누나.

(3) 존경하는 이순신 한산도 차운(敬次李忠武公 (舜臣) 閑山島韻) 본가의 문서에 적다題本家帖 / 남용익(南龍翼) 경상도관찰사 17세기 후반.
聞笛睢陽詠 수양성 노래하는 피리소리 들리는데
千秋節並高 오랜 세월 변방의 절개 높았다네.
時危憶良將 위태로운 때 훌륭한 장수를 추억하며
中夜撫龍刀 깊은 밤 쌍룡도만 어루만진다.

[주] 수양성(睢陽城) : 당 나라 안녹산(安祿山)의 난리 때 장순(張巡)ㆍ허원(許遠)이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성이 함락되어 죽었다.

(4) 충무공한산도 차운(次忠武公閑山島韻) (李公舜臣) / 신익상(申翼相) 17세기 후반.
雲海將星落 구름 낀 바다, 장군이 떨어진
麟臺勳業高 인대(麟臺)의 공적 높도다.
英雄滿襟淚 영웅의 옷깃에 눈물 흥건하니
遺恨泣龍刀 남은 원한에 쌍룡도가 울린다.
[주] 인대(麟臺) : 기린대, 중국 한나라 때에 장안(長安)에 세운 누각을 달리 부르는 말. 또는 중국 당나라 무후 때 비서성을 고친 이름.

(5) 이충무공한산도 야음 차운(次李忠武公閑山島夜吟韻) (丙申) / 김간(金榦) 1716년 作. 
名與角干埒 명성에 걸맞게 경계를 방어하는 곳,
功將滻水高 공명은 높은 바닷물에 눈물 고이네.
平生景仰志 평생 앙모하는 정을 품을 따름이라,
揮淚撫龍刀 눈물 뿌리며 쌍룡도를 어루만진다.

(6) 충무공 한산도 시 차운(次忠武李將軍(舜臣) 閑山島詩韻)(二首) /  이간(李柬,1677년~1727년)
五字閑山作 다섯 자 한산도 시를 지으매
其詩地位高 그 시의 지위가 높구나.
至今天下事 지금 천하의 일 논한다면
誰復試公刀 누가 다시 공의 검을 살피랴.
不成東海死 동해에서 죽지 못한
誰識仲連高 중련의 고귀한 뜻 누가 알리오.
沃日呑天業 태양을 씻고 하늘의 업을 삼키며
悲歌撫舊刀 슬픈 노래 맞춰 옛 검을 두드린다.
[주] 중련(仲連) : 진秦나라가 예禮를 버리자 공을 세운 중련(仲連)도 배를 띄워 동해로 건너려 하였다.

(7) 이충무한산도 차운(次李忠武公(舜臣) 閑山島韻) (三首) /  임홍량(任弘亮,1634년~1707년)
德水人豪挺 덕수 이씨 뛰어난 호걸,
閒山韻更高 한산도 시운 뛰어나다.
三韓再造烈 강건한 삼한을 다시 세우매
看取舊龍刀 옛 쌍룡검 보며 깨닫네.
氣作山河壯 기세 일으킨 산하는 웅장한데
名懸宇宙高 명성 헛되이 우주만 높구나.
千秋滄海上 오랜 세월 푸른 바다에
餘怒在龍刀 남은 분노, 쌍룡도를 살피네.
秋光入咳唾 가을 햇살 방긋 웃듯 들어오는데
忠義可爭高 충의는 다툴 만큼 고상하다.
先烈知無忝 선열은 더럽힘이 없었음을 알겠고
晟刀卽愬刀 밝은 칼이 곧 두려워 할 칼이로다.

[右秋光句用原韻 寄李宣傳鳳祥 以寓期待勖勉之意 古語曰忠義之氣 與秋色爭高 昔唐李晟 乃中興名臣也 有寶釰 克成中興之功 以釰傳子孫 其後李愬又以先劒平淮蔡 故用其事 庸眎區區之望] 원운(이순신 제승당야음制勝堂夜吟)에 있는 추광(秋光) 글귀를 사용해서 충무공의 후손 이봉상 선전관에게 부쳤다. 격려하고자하는 뜻을 기대하며 보냈다. 옛 말에 이르길, 충성스럽고 절개가 곧은 기백과 함께 가을 경치가 다투듯 뛰어났다한다. 옛날 당나라 '이성'이 이같이 나라를 중흥시킨 이름난 신하였다. 보검이 있는데 중흥의 공을 이루어 낸 자손에게 검을 전한다. 이후에도 당나라 헌종(憲宗) 때에 산기상시(散騎常侍)로 있던 이소(李愬)가 주위 사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눈 오는 밤중에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가 모반한 회서 절도사(淮西節度使) 오원제(吳元濟)를 포박하고 회서(淮西, 淮蔡) 지방을 평정하였다. 그 일을 언급하는 까닭은 구구한 바램을 써 보이고자 함이다.

(8) 이충무공을 차운하다(次李忠武公韵) / 김유(金楺,1653년∼1719년). 조선 후기의 문신. 
烟愁孤島立 시름겨운 안개 속 외딴섬 솟은 곳에
水咽海天高 오열하는 바닷물 위, 하늘 높도다.
萬古英靈在 오랜 세월동안 영령이 있어
時時夜擊刀 때때로 밤이면 칼을 친다네.

(9) 존경하는 충무공 '한산도' 차운한 시(敬次忠武公閑山島詩) / 송징은(宋徵殷,1652년~1720년).
赫赫勳名壯 혁혁한 공적 그 명성 장하고
三韓義節高 삼한의 의절(義節) 높도다.
平生手裏物 평생 계략 속에 시달리니
惟有兩龍刀 오직 쌍룡도만 살필 뿐.

1697년 봄, 나는 아주(충남 아산시)를 지키기 위해 나갔다. 고을에 이르러 곧 옛 유적을 물어 찾아갔다. 촌로가 말하길, 어떤 마을에 충무공의 묘가 있다고 한다. 아~ 공은 알다시피 임진왜란 때, 탐욕스런 악당들이 차츰 나라를 잠식해 와, 장군으로 기용되어 있던 차에 병영에서 명령을 받고 넓은 바다 사이를 가로막았다. 국가의 위난을 극복하고 죽었다. 거듭 국가의 운명이 안정 된, 그 무한한 충성과 위대한 공적, 뭇사람들의 이목을 끌어 빛나 본보기가 되니 공경하고 사모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공은 하물며 의관을 감추고 부임했던 고을마다 존경과 사모하는 마음, 깊이 사무쳤다. 또한 어떠하다 하겠는가?
어느 날, 그 후손 신녕 공이 공의 '한산도' 일절을 보여주어, 나는 손을 씻고 펼친 종이에다 짧은 시간에 시를 읊었다. 기개가 호방하고 의지가 강건하며, 사어가 고아하고 격조가 청아했다. 비록 남은 기름과 향기처럼 문장이 넉넉하더라도 공의 충의가 드러나고 공의 말이 숨길 수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무릇 예전에는 활집과 동개를 잡아매고 병법이라고 배웠다. 마땅히 술잔과 함께하며 먹을 멀리하는 것과 같다. 문장이 별개의 것이라 여긴다. 혹 아름다운 홍문관에서도 물리칠 수 있으나 그 말씀이 수놓듯 번쩍번쩍 빛나, 후세에도 전해지게 되었다. 어찌 배우지 않고 천부적으로 능통한 재주라 하면서 재능 있는 사람이라 하리오. 옛날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 한유(韓愈, 768~824)가 이르길, 당(唐)나라 장순(張巡, 709∼757)이 학문을 좋아해, 읽지 않는 책이 없었고 한문으로 된 책을 외우고 한 자라도 틀리지 않도록 했다한다. 공도 역시 궁마술 틈틈이 여러 종류의 책을 익혔다. 가슴속에 쌓아둔 바가 글에서 드러난다. 바로 이와 같다 할 것이다. 공은 대대로 영원불멸하리라. 돌아보니 공은 남을 탓하지 아니했다. 다만 그의 일언일구가 다 소중한데 자취와 흔적이 없음이 용납되지 않아, 근세 여러 공들이, 공의 운을 많이 차운하여 십여 편에 이르렀다. 신녕 공에게 글을 지으며 손뼉을 치고 춤추면서 화답했다. 문장이 졸렬하여 사양하고자, 불가하다했지만 삼가 조심해 올리며 간략하게 서술한다. 높은 산과 밝은 길(사람의 덕행이 고상함을 칭송하는데 쓰는 말)의 뜻을 이와 같이 부친다.
[丁丑春 余出守牙州 洎至縣 卽詢訪舊蹟 父老言忠武公之墓在某里 噫 公當壬辰之歲 封豕荐食 起自末將 受命閫臬 蔽遮湖海之間 卒能弭兇靖難 再奠國步 其精忠偉烈 焯焯在人耳目 居平 未嘗不欽仰 矧公衣冠之藏 在吾所莅之地 其感慨敬慕 又何如哉 一日 其後孫新寧公 袖公閑山島中一絶以示 余盥手展紙 諷詠一餉 其氣豪而志烈 詞高而格淸 雖殘膏賸馥 足以見公忠義之溢於辭而不可揜也 夫古之屬櫜鞬治韜略者 宜若與觚墨疎 而餘事文章 或能攘羭於文苑 詞繢映發 可傳於後 豈其天賦通才不習而能者耶 昔韓文公稱張巡好學 無所不讀 誦漢書 不錯一字 公亦能於弓馬之暇 染指書史 其蘊於中而形於言者 有如是夫 公之不朽於世 顧非藉於此 而唯其咳唾之餘 有不容泯沒者 近世諸公 多次公韻 殆十數篇 新寧公屬余拚和 不可以文拙辭 謹步而略敍之 以寓高山景行之意云爾 ].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